2024년 6월 24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소재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반복되는 배터리 화재

2024년 6월 24일에 발생한 배터리 공장 화재는 리튬 이온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사례로,
이와 유사한 사례로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발생한 사례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7년에는 삼성전자의 리튬 이온 배터리가 공장에서 화재를 일으켜
생산 중단과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 사례가 있습니다.

또한, 리튬 이온 배터리가 포함된 전자기기나 전기 자동차의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재 사례도 다수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배터리의 특성 상 과열, 단락, 충격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 물 대신 모래나 백산을 사용하여 진화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모래로 불을 끈다고?
화재의 종류에 따라 진화방법도 다릅니다.

화재를 진압하는데 모래를 사용하는 이유는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의 특성 때문입니다.
배터리 공장에서는 리튬 이온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물로 진화시키기 어렵고 오히려 화학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모래는 불을 직접 소화하는 것보다는
화재 영역을 저항하고 온도를 낮춰서 확산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유형별 화재 진화 방법
행정안전부는 블로그 등을 통해
화재의 종류별로 다른 진압방법에 대해 안내하고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mopaspr/221629849241
화재에도 종류가 있다? 유형별 화재 진화 방법을 소개합니다![영상 리뷰]
불이 났다고 다 똑같은 불이 아니라는 사실! "불이야!" 주변에 불이 나서 당황하게 되면 머릿속...
blog.naver.com
'시사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픽토그램이란? - 2024 파리올림픽 픽토그램 어떤가요? (0) | 2024.07.13 |
---|---|
잠시 외출했을 뿐인데... 장마철, 곱슬머리가 운 이유 (0) | 2024.07.11 |
주사만 맞으면 살이 빠진다? '위고비' 국내 출시 될까 (0) | 2024.07.04 |
게슈탈트 붕괴 현상, 게슈탈트는 무엇일까? (0) | 2024.07.02 |
미디어 중독이 치매를 일으킨다? '젊은 치매'가 느는 이유 (0) | 2024.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