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상식

미디어 중독이 치매를 일으킨다? '젊은 치매'가 느는 이유

by 머니라이더 2024. 6. 22.

미디어 중독이란?

미디어 중독은 디지털 기기  콘텐츠(스마트폰, 소셜 미디어, 비디오 게임 등)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이로 인해 일상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알코올 중독, 도박 중독 등과 같이 일종의 중독 행위로 분류되며, 개인의 사회적, 직업적, 학업적 기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적으로도 큰 문제를 야기합니다. 

 

스마트폰 중독

 

나도 이미 미디어 중독?

>> 미디어에 중독의 행태 및 증상

1. 과도한 사용

미디어를 사용하는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집니다. 

2. 통제력 상실

사용 시간을 줄이려는 시도가 실패하거나, 미디어 사용을 중단할 수 없게 됩니다. 

3. 금단 증상

미디어 사용을 중단하거나 줄일 때 불안, 초조, 짜증 등의 금단 증상이 나타납니다. 

4. 일상 기능 손상

미디어 사용으로 인한 수면 부족, 학업 또는 직업 성과 저하, 대인 관계 문제 등이 발생합니다. 

 

>> 미디어 중독이 초래하는 문제점

1. 수면 장애

늦은 시간까지 미디어를 사용하면서 수면 패턴이 깨져 불면증이 발생합니다. 

2. 신체적 질병

장시간 앉아 있는 생활 습관으로 인해 비만, 시력 저하, 근골격계 질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우울증 및 불안

과도한 미디어 사용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우울증 및 불안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4. 주의력 결핍

계속해서 짧은 시간 동안 다양한 정보를 소비하는 것이 주의력 결핍과 집중력 저하를 초래합니다. 

5. 대인 관계 악화

현실 세계에서의 대인 관계 소홀해지고, 가족 및 친구와의 관계가 악화됩니다. 

6. 사회적 고립

온라인 활동에만 몰두하면서 현실 세계에서의 사회적 활동이 줄어들어 고립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7. 성과 및 성취도 저하

신체, 정식적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일이나 학업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SNS중독

 

미디어 중독과 치매의 연관성?

미디어 중독과 치매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몇 가지 잠재적 연관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주의력 및 기억력 저하

미디어 중독은 주의력과 기억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짧은 시간 동안 다양한 정보를 소비하는 것이 집중력 부족과 기억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인지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고립감 증가

미디어에 과도하게 의존하면 현실 세계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사회적 상호작용은 뇌의 인지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사회적 고립은 치매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3. 운동 부족

미디어 중독은 신체 활동을 현저히 줄입니다. 운동은 뇌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운동 부족은 뇌로 가는 혈류를 감소시키고, 이는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4. 수면의 질 저하

미디어 중독은 특히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화면을 오래 보는 경우 수면 패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수면 부족은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치매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앱

 

중독을 막는 방법, 과연 있을까?

 

이미 중독의 증상을 보인다면 알코올 의존증(중독), 도박 중독 등 여타의 중독 환자들에게 처방되는 방법들과 일맥상통합니다. 먼저 일상에서 중독을 일으키는 대상을 제거하고, 규칙적인 일상 생활을 통해 신체 건강을 되찾고,  대인 관계를 유지시키면서 사회적으로 고립되지 않게 해야 합니다. 예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적절한 미디어 사용

미디어 사용 시간을 조절하고, 일정 시간을 정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취침 전에는 디지털 기기 사용을 의식적으로 줄여 수면의 질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2. 사회적 활동 강화

현실 세계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늘리고, 가족 및 친구와의 시간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인지 기능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3. 규칙적인 신체 활동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신체를 활동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걷기, 달리기, 요가 등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해 뇌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4.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균형 잡힌 식사,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관리 등 전반적인 건강 관리를 통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유튜브중독

 

 

절주가 아닌 금주!

절연이 아닌 금연!

자신의 미디어 중독 증상이 이미 심각한 상황이라면,

사용하는 미디어 기기를 아예 지우고,

주변에 알려 현실 세계로 나오세요!

미디어가 진짜 인생을 살게 하지 않습니다.